제주살이 꿀팁

제주살이를 더 즐겁고 알차게!

동네청년 5탄 <제주에서 직장인으로 살아남는 법>

제주에서 잘 살고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누군가에겐 제주살이를 조금 더 수월하거나 재밌게 하지 않을까?
특히 제주의 청년들이 자꾸 떠난다는 안타까운 소식에, 제주소통협력센터 '제주생활실험'의 일환으로 제주에서 잘 먹고 잘 사는 청년 5명을 찾아나섰다!
청년들의 이야기가 다른 청년들이 제주에 머물고 행복한 일상을 누리는 데에 도움이 됐으면 하는 마음으로 준비했으니 재밌게 봐줘.


 

감상평 남기고 커피쿠폰 받기


제주도 토박이. 직장인 앨리스


제주에서 직장을 5년째 다니고 있는 앨리스야. 내가 일하는 곳은 제주특별자치도 소통협력센터인데 행정과 시민 그 사이에 다리 역할을 하는 중간지원조직이고, 담당 업무는 사업 기획이랑 운영이야. 소통협력센터는 지역에 여러 문제에 대해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이야기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거나,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지원해 주거나, 사람들이 모일 수 있도록 공간을 빌려주는 일들을 하고 있어.


소통협력센터에 어떻게 입사했어?

취업 준비를 위해 찾아보던 중 소셜섹터라고 하는 분야를 알게 됐어. 사회에 이롭고 가치 있는 일을 할 수 있는 영역의 일인데 마침 지인이 소통협력센터라는 곳이 생긴다는 정보를 알려줘서 지원하게 되었어.


합격 팁

내가 대학교 전공이 간호학인데 끝까지 학교에 다니지는 못하고 자퇴를 했어. 그래서 내가 학력, 학점, 어학 점수 이런 거로는 어필할 게 전혀 없었거든. 근데 내가 대학 생활에서 공모전이랑 대외 활동 이런 걸 정말 많이 했어. 여기서 정말 좋은 역량을 잘 쌓았고 많은 걸 배웠다. 이런 쪽으로 많이 어필을 했던 것 같아.


계속 제주에 살았어?


5개월간 인턴을 서울에서 한 적이 있었어. 나는 그 생활이 너무 행복했어. 서울 라이프를 꼭 경험하고 싶었는데 서울에 가보니까 문화생활 할 것도 너무 많고 내 업무 관련해서 배우러 다닐 행사나 프로그램도 많으니까 여러 가지를 경험하고 다양한 사람들을 만날 수 있던 게 너무 좋더라고. 그래서 원래는 서울에서 일을 하려고 했는데 마침 소통협력센터 공고가 떴다는 걸 들었고 여기 일이 되게 재미있어 보여서 써봤는데 돼서 그냥 바로 내려왔어.

근데 나는 서울에서 일을 하고 싶은 마음이 계속 있어서 2년만 일하고 경력을 채워서 서울로 이직을 해야겠다고 생각했어. 근데 실장님도 그렇고 팀장님도 그렇고 '앨리스 여기서 3년, 5년만 일해봐. 여기서 일하는 게 서울의 어떤 기업에서 일하는 것보다 더 많은 걸 배울 수 있고 더 많은 걸 경험할 수 있을 거야' 라고 하시는 거야. 처음에는 정말일까? 의심했었는데 다니면 다닐수록 어디서도 해보지 못한 경험을 여기서 정말 많이 쌓는 것 같아. 


서울과 제주 직장인의 차이


사실 회사 생활 자체는 엄청 차이를 못 느꼈던 것 같아. 근데 퇴근 후의 삶은 제주가 더 좋은 것 같아. 서울에서는 퇴근하면 집 가기에 바쁘고, 집에 가면 너무 지쳐서 그냥 쓰러져 자기 일쑤였는데 제주에서는 퇴근하고 바다 노을 지는 것도 보고 커피나 맥주도 마시면서 위로를 받으면 집에 가서도 마음이 푸근해지는 것 같아.


제주에서 일하려면

업무 환경

야근이 많아. 우리처럼 중간지원조직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업무량이 많은 것 같아. 우리가 하는 일이 사업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하는 일인데 그럼 기획하는 것부터 참여자 모집, 운영, 정산, 결과 보고서까지 다 담당자가 해야 하니까 일이 너무 많고 보통 사람들이 참여하는 프로그램은 저녁 시간이나 주말에 많이 하다 보니 야근도 많고 그런 것 같아.


스펙

공기업이라고 불릴 수 있는 곳들은 아직은 중요한 것 같고 우리처럼 중간지원조직이나 일반 사기업 같은 경우에는 그렇게까지 중요하게 보지 않는 것 같아. 제주에서 일하고자 마음만 먹으면 올 수 있어!


구직 정보는 어디서?

그런 정보들을 모은 사이트가 많아. 픽제주 뉴스레터, 잇지제주, 소통협력센터 같은 소식들이 모음으로 올라오는 사이트들을 많이 보면 취업 정보뿐 아니라 제주에서 할 수 있는 다양한 재밌는 프로그램 정보는 되게 많이 얻을 수 있는 것 같아.

픽제주 뉴스레터

잇지제주

제주특별자치도 소통협력센터

일반 회사 정보는 육지랑 똑같은 것 같은데 잡코리아 같은 사이트에 올라온 걸 보거나 각 회사 홈페이지에 공고 뜬 걸 보고 지원하는 경우가 대부분인 것 같아. 아니면 대외 활동 같은 걸 해서 지인에게 추천받아서 취직하기도 하고.


로컬로서의 팁은? 

대외 활동이나 기관에서 하는 프로그램을 많이 경험해 보는게 좋을 것 같아. 그런 프로젝트에 하나 참여해서 정말 성실하게 임하고 좋은 모습을 보여주면 그게 또 다른 기회로 많이 연결되는 것 같아. 내가 대외 활동했을 때 열심히 참여했던 걸 좋게 봐주신 어떤 담당자분은 나를 다른 프로그램의 강연자나 진행자로 섭외해 주시기도 하고 이게 취업도 비슷할 것 같아. 하나에서만 잘해도 진짜 금방 퍼지고 소문나!


청년들을 위한 혜택

나는 진짜 많이 받았던 것 같아. 제주도가 기관이 엄청 많잖아. 각 기관에서 그 영역에 맞는 지원 사업들도 너무 많고 그런 것들을 잘 골라서 하면 내가 하고 싶은 프로젝트를 지원받을 수 있어. 나도 프로젝트를 지원받아서 내가 하고 싶었던 행사를 직접 기획해서 운영해 보기도 했고 지원받아서 일본으로 여행을 다녀오기도 했어. 제주가 유독 다른 지역에 비해 지원들이 더 많은 것 같아.


앨리스의 취미


맛있는 커피를 파는 카페에 가는 걸 너무 좋아해! 분위기도 중요하지만 커피 맛이 제일 중요해.

>앨리스 추천 제주 커피 맛집<

홀리싯커피서플라이 : 올 때마다 원두 종류가 바뀌어서 새로운 맛을 맛보는 재미

카페 단단 : 라떼 맛집

코스모스 커피 : 커피 종류는 다 맛있다.

프로파간다 : 에소프레소 메뉴가 최근에 생겼는데 커피 맛집은 에소프레소도 드립 못지않게 맛있다.

커피 템플 : 워낙 유명한 곳


풋살

청년센터에서 풋살 클래스를 수강했는데 너무 재밌어서 같이 수강했던 분들이랑 커뮤니티를 만들었어. 수강생분들의 지인들까지 모아서 29명이 팀이 됐고 2년 넘게 계속 주 1회 풋살을 하고 있어. 그리고 AJ 스포츠아카데미라고 여성 전용 풋살반이 있어서 기본기와 기술을 주 이틀 배우고 있어. 


✨ 막간 홍보 ✨

안녕하십니까? FC_buildup_jeju 매니저 앨리스입니다. 친선전을 할 팀을 구하고 있습니다!

혼성, 남자, 여자 친선 모두 환영하니 연락 주세요!

@fc_buildup_jeju


동호회 정보는 어디서?


청년센터를 통해 많이 구할 수 있는 것 같아. 청년센터에 도내 청들 동아리를 지원해 주는 사업을 오랫동안 운영해 와서 홈페이지에 등록된 동아리 정보가 많더라고. 거기서 관심 있는 동아리를 찾아봐도 좋을 것 같고 아니면 내가 했던 것처럼 청년 센터 클래스를 듣고 마음이 맞는 사람들과 작당 모의를 해봐도 재밌을 것 같아. 


육지로 떠나는 친구들

정말 많아. 아무래도 일자리 때문에 가는 경우가 많은 것 같아. 두 가지 경우가 있는데 애초에 대학을 육지로 가는 친구들. 제주에서 취업했지만, 더 나은 일자리를 찾아서 육지로 가는 친구들. 제주도에서 한 직무로 여러 직장을 다녀보고 싶은데 아무래도 선택지가 제한적이니까 떠나는 것 같아.


그럼에도 앨리가 제주도에 있는 이유

나도 처음엔 육지에 가고 싶었던 이유는 육지가 제주도보다 훨씬 더 많은 기회가 있을 거라고 생각했어. 뭔가를 경험할 기회도, 사람들과 관계 맺을 기회도 육지가 훨씬 더 많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막상 제주도에 지내보니까 여기가 기회가 진짜 많은 거야. 육지에서는 더 경쟁이 치열하고 뽑히기 어려운 것들도 제주에서는 상대적으로 경쟁률이 약한 것 같아. 그래서 내가 욕심을 내고 지원하면 되는 경우가 많아.

다른 지역에 비해 제주도가 기관이 진짜 많은 곳이라 들었거든? 기관에서 지원하는 지원 사업들이 정말 많아. 조금만 찾아보면 '내가 이걸 하고 싶다고 했을 때 여기서 지원받을 수 있구나, 여기서 사람들을 연계할 수 있구나' 하는 정보들을 얻을 수 있더라고. 관심 있게 들여다보면 제주에서 할 수 있는 건 진짜 많다!


제주에서 잘 살고 싶은 청년들에게


내 주변에 제주로 이주해 와서 사는 친구들을 보면 제주에 적응하기까지 조금 시간이 필요했던 것 같아. 처음에 오면 여기서 바로 관계를 만들려고 하고 적응을 빨리하려고 하다 보니 되게 조급해지는데, 그런 마음을 조금 누르고 천천히 내가 살고 있는 동네를 돌아보고 관심 있는 프로그램이나 클래스 같은 걸 참여해 보고 하면서 거기서 관계들이 생기고 그게 제주에서 오래 살 수 있도록 정착할 수 있는 힘을 만들어주는 것 같거든. 그러니 조급해하지 말고 천천히 제주에 익숙해지고 제주를 알아가봐야겠다는 마음만 있으면 제주에서 적응하고 살아가기 훨씬 더 좋을 거야.


*본 프로젝트는 제주소통협력센터 '제주생활실험'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상호명 랄라고고 주식회사    대표 조인래

사업자등록번호 764-87-02248 
통신판매업 2023-제주일도일-0006
신한은행 140-013-684296 랄라고고(주)

주소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관덕로 44, 408호(제주시소통협력센터)

이메일 lalagogo@lalagogo.co.kr  
문의 010-4443-1492

Copyright ⓒ lalagogo Inc, All right reserved.

Copyright ⓒ lalagogo Inc, All right reserved.


상호명 랄라고고 주식회사    대표 조인래

사업자등록번호 764-87-02248 통신판매업 2023-제주일도일-0006
신한은행 140-013-684296 랄라고고(주)

주소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관덕로 44, 408호(제주시소통협력센터)

이메일 lalagogo@lalagogo.co.kr  문의 010-4443-1492

Copyright ⓒ lalagogo Inc, All right reserved.

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버튼